산양삼 재배교육5
산양삼 재배환경
1. 산양삼은 반음반양지 식물이다.
2. 산양삼 성질은 물은좋아하나 많은 물과 습기는 싫어한다.
3. 더운곳은 싫어한다.
4 자연적인 해가림을 할수있는 활엽수 임지가 좋다.
5.빛은 좋아하나 열은 싫어한다.
6. 여름철 시원한 동북향과 북향을 좋아한다.
7.산양삼 생육에 좋은 빛은 동쪽에서 비취지는 오전10시 이전에 수관사이로 통하는 산란광이 제일 좋다.
토양 및 온도
1. 토양의 적정 수분은 흙을 주먹으로 가볍게 쥐었다 놓으면 실금이 생길정도면 수분 함량이 적당하다.
2. 7-8월 우기에는 비가 그치면 배수가 바로 되도록 배수로를 정비하여 물빠짐이 양호 하도록 하여야 한다.
3. 토양이 과습하면 뿌리에 적변이 오고 뿌리쪽이 썩어서 상품성이 떨어지고 3-4년후 고사한다.
4. 발아와 출아에 적당한 온도는 10-15도 이고 여름철 기온은 20-25도가 가장 적정 온도이며
30-34도가 넘으면 고온 생리장애가 생긴다.
5. 바람이 많이 타는 임지의 경우 4-6월에 바람에 의하여 생기는 반점 병균을 예방하기 위하여 방풍 장치가 필요하다.
6. 여름철 고온 및 장마비에 의한 탄저병이 발생 하므로 소목이 적은 지역의 경우 덕장 시설을 할수 있으면 피해를 줄일수 있다.
탄저병의 경우 줄기에 작은 반점으로 시작하여 줄기가 말라 죽는다.
뿌리에는 침투하지 않으나 산양삼 성장에 지장을 주며 상품성이 떻어진다.
임지조건 및 토질
1. 경사도 10 - 30도
2. 토질은 자갈과 돌이 섞이고 낙엽이 썩어 부식질이 쌓이고 배수가 원활 한곳
3. 해발 600 이상
산양삼 품종
1. 인삼씨 산삼씨 산양삼씨 모두 파낙스진셍이다.
2. 산삼씨 산양삼씨앗에 현혹되지 말자.
3. 산삼 산양삼 인삼씨앗이 중요한것이 아니라 모두 잔류농약 기준치만 합격하면 그 씨앗이 우수한 씨앗이다.
4. 우수한 산양삼 씨앗을 확보하기 위하여서는 1.2.3.대를 거처서 수확한 씨앗을 확보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본다.
종묘선정
1. 종묘는 달래모양으로 둥근 것은 종묘로 부적합하다.
이유[ 잔뿌리가 길게 내리지 못하고 노두 형성이 원활하지 못하다.
지금까지는 소비자를 현혹하기 위하여 산삼을 닳은 달래모양의 삼을 구입하여 식재 하였으나 이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파종시기
1. 과육 씨앗을 심는것을 원칙으로 하여야 하며 과육씨앗의 경우 8월초에서 8월말까지가 제일 적합하며
8월에서 동절기 까지 식재하여도 무방하나 8월까지 식재한 삼의경우 다음년도 봄에 싹이 나오지만 9월에서
동절기 까지 심은 씨앗은 1년후에 싹을 튀운다.
씨앗 보관 방법은 씨앗이 마르지 않게 냉장 보관한다.
2. 산양삼은 개갑된 씨앗 보다는 과육씨 및 개갑 하지 않은 씨앗을 식재하는 것이 최대한 자연 상태의 재배법이라 할수 있다.
묘삼식재
1. 묘삼식재의 경우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3월초에서 4월20일 까지 마무리 하여야 한다.
2. 묘삼의 경우 2년생 이하의 묘종이 좋으며 토양이 척박한 곳에서 자라 작은이쑤시게 처럼 작으며 씨앗의 눈이 확실한 것이 좋다.
2년생 묘삼이 통통하고 큰 것은 부엽토가 많은 곳이나 질소기가 많은 곳에서 자랏기에 옴겨심으면 첫해는 왕성하게 자랄지 모르나
웃자람 현상으로 일찍 고사한다.
3. 3-4년생의 묘삼을 임지에 이식시에는 노두 죽절현상 및 노두 함몰현상이 일어나 상품의 가치가 떯어진다
4. 묘삼이식 회수는 10년을 기준시 수확기 까지 1-2회 적당하다'
산지관리 및 식재방법
1. 식재 방법은 산림의 자연상태 그대로 식재하는 방법과 인위적으로 다듬어서 식재 하는 방법이 있다.
2. 자연 직파의 경우 낙엽 제거후 상층부에서 하단부로 괭이를 이용하여 10-20cm정도의 배수로를 만든후
호미로 3-5cm정도 깊이로 파종한다. 씨앗의 간격은 10-15cm 가 적당하다.
3. 폭 과 폭 간격은 경사지에 사람이 다니기 쉽게 즉 사후관리[제초작업등]를 위하여 60cm정도의 통로를 확보하여야 한다
삼이 심어진 곳은 밟아서는 안된다.
4. 임야 간벌은 하지 않은 것이 좋다.
산양삼은 반음반양 식물이긴 하나 음지 식물에 가까우므로 나무상층이 7m이상 정도면 하층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면
그대로 두는 것이 좋다.
잘못 간벌을 하게되면 병충해로 조기 낙엽 및 누두발생에 지장을 준다.
위 내용은 참고사항입니다.
5. 자연에 대하여 인간이 정답을 얻는 다는 것은 불가능 한 것이며 지역과 지형 토양 온도 등 다양한 환경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므로 생산자 자신이 여러 방면으로 연구하는 것이 많은 도움이 될것이라 사료 됩니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것 처럼 임야에서 여러대를 거친 씨앗을 확보하는 것은 꼭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6. 산양삼 병충해
뿌리 썩음병, 녹는다고 하는 병으로 성장 중 습기가 과습한 지역에서 나타나며 이식한 삼에서도 나타나고 타 지역에서 기온이나 고도의 차이가 심한 곳에서 이식한 삼에서도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며 중국산이라고 하는 장백삼의 삼도 이식을 하면 거의 2~3년 안에 썩어버립니다. 해충, 굼뱅이가 생초의 퇴비에 생존하며 삼의 뿌리를 갉아 먹는데 죽이기 보다는 파상을 만들기 때문에 주의를 하여야 하며, 산양삼재배지의 조건을 지표면 30센티미터 이상 자라 모래성질의 토양으로 대토한 후 뿌리를 조성하여 자연조건을 최대한 인위적으로 갖추어야 할 것이다.